반응형
🔐 19강. Vulnerability Management 실무: "우리 ECU, 지금 괜찮을까?"안녕하세요, 사이버보안 탐험가 여러분!오늘은 자동차 사이버보안에서 절대 빠질 수 없는 취약점 관리(Vulnerability Management)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.ECU에 숨어 있는 보안 구멍, 어떻게 찾고 어떻게 막을까요?그 핵심을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.🎯 왜 취약점 관리가 중요할까?자동차는 이제 더 이상 단순한 기계 덩어리가 아닙니다.모든 기능이 네트워크로 연결되고, 업데이트되고, 외부와 통신합니다.그러다 보니, "취약점 하나가 전체 차량 보안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어요!"그래서 우리는 선제적이고 조직적인 Vulnerability Management가 꼭 필요하답니다.🔍 1. 취약점 식별, 어디..
🛠️ 12강. 사례 분석②: 프로젝트 단계 평가 대응 전략실무는 결국 “이 프로젝트, 제대로 했나요?”에 답하는 것! 🎯안녕하세요, 사이버보안 실무자 여러분!오늘은 실전 중의 실전! 바로 기능 또는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 대응 전략을 다룹니다. 심사관이 조직 전체가 아니라, “이 프로젝트 하나만 집중적으로 들여다보는 경우” 있죠?그럴 땐 조직의 정책보다 현장 증적(Work Product)과 일정(Timing)이 핵심입니다.이걸 놓치면 “보안 활동 했다고 했는데, 증거가 없네요”라는 치명적 실수를 하게 됩니다! 😱🎯 오늘의 학습 목표프로젝트 단위로 수행되는 심사의 대응 흐름 이해하기Work Product(WP) 준비 전략과 타이밍 관리 포인트 파악실제 기능/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심사에서 ..
🔄 18강. 보안 유지보수와 OTA 업데이트"자동차 보안, 출고 후에도 계속됩니다!" 안녕하세요, 사이버보안 개발자 여러분!오늘은 “출시 후에도 멈추지 않는 보안” 이야기,바로 보안 유지보수와 OTA 업데이트에 대해 알아봅니다. 🚗💻💡 자동차가 ‘스마트 디바이스’가 된 지금,보안 업데이트는 필수 유지보수 활동이 되었습니다!🎯 오늘의 핵심 목표OTA 업데이트 흐름을 보안 관점에서 이해하고인증서 갱신, 키 관리 등 유지보수 요소를 살펴보고실전 사례와 함께 패치 적용 전략을 배워봅니다!📦 1. OTA란 뭘까요?OTA (Over-The-Air)는 무선 통신을 통해ECU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기술입니다.OTA에는 강력한 보안 설계가 반드시 필요합니다!🛡️ 2. Secure OTA 업데이트 흐름자..
🧭 11강. 사례 분석①: 조직 수준 감사 실사 대응 전략외부 심사? 걱정 마세요! 조직 단위로 딱 준비하는 전략 로드맵 공개! 🔍안녕하세요, 사이버보안 실무 전문가 여러분!오늘부터는 실전 케이스 중심으로 심사 대응 전략을 다루는 사례 분석 시리즈가 시작됩니다! 🎉 첫 번째 주제는 바로,조직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외부 심사 대응입니다.즉, “당신네 회사, 사이버보안 관리 잘하고 있나요?”를OEM, 인증기관, 혹은 당국이 직접 확인하러 오는 거죠. 😬긴장되시죠? 그런데 준비만 잘하면 심사관도 감탄할 수 있습니다!이번 강의에서는 조직 수준 감사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로드맵을 제공하고,인터뷰 대응 요령과 부서 간 협업 포인트까지 쏙쏙 정리해 드릴게요.🎯 오늘의 학습 목표조직 단위 외부 심사 준비를..
🚨 17강. 보안 인시던트 관리와 대응 체계 구축"사고는 막는 것도 중요하지만, 터졌을 때 잘 대처하는 게 더 중요하다!" 안녕하세요, 사이버보안 레이스의 위기 대응 구간에 들어선 여러분!이번 강의에서는 보안 사고(인시던트)가 발생했을 때어떻게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지 실전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.💡 보안 사고는 언젠가는 반드시 발생합니다.중요한 건! 당황하지 않고 빠르게, 그리고 조직적으로 대응하는 것!🎯 오늘의 핵심 목표보안 인시던트란 무엇인지 이해하고대응을 위한 조직인 CSIRT(Cyber Security Incident Response Team)를 어떻게 구성하는지 파악인시던트 대응 프로세스를 실전 사례와 함께 정리고객사, 인증기관 보고 전략까지 함께 알아보기!🧨 1. 보안 인시던트란?..
🏢 16강. CSMS란 무엇인가? 조직이 해야 할 보안 관리"보안은 시스템이 아니라 문화다!" 안녕하세요, 자동차 사이버보안 여정의 ‘조직 관리 파트’를 함께할 시간입니다!지금까지 기술, 프로세스, 도구 이야기를 많이 해봤다면,오늘은 조금 색다르게, 사람과 조직, 그리고 문화에 집중해 볼게요.🧭 CSMS, 들어는 봤나?CSMS = Cybersecurity Management System쉽게 말해,"조직이 사이버보안을 잘 운영하도록 만드는 관리 체계!"자동차 산업에서는 UNECE R.155에 따라 OEM과 부품사(Tier1, Tier2) 모두CSMS를 구축하고 인증받아야 하죠. (VTA 인증에도 필수!)🎯 오늘의 핵심 목표CSMS가 왜 필요한지 이해하고조직 내에서 보안을 누가, 어떻게 책임지는지 파악..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