⚠️ 12강. HARA(위험 분석 및 위험성 평가) – 실무 팁과 예시 대방출!
안녕하세요, 오늘도 안전하게 기능안전! 👷♂️🚗
이번 강의는 드디어 기능안전의 꽃, HARA (Hazard Analysis and Risk Assessment)입니다.
"위험을 알아야 막을 수 있다!"
오늘은 실무에서 진짜 사용하는 방식으로 HARA를 어떻게 작성하고 적용하는지 알려드릴게요!
그리고 중요한 포인트!
오늘의 핵심은 바로 “운용 환경 조건을 반드시 반영하라!”입니다.
실무에서는 환경 조건 미반영이 HARA 실패의 주범입니다! ⚠️
🧭 1. HARA란 무엇인가?
HARA는 한 줄로 말해
“위험한 상황을 미리 찾아내고, 그 위험을 수치로 표현해
적절한 안전등급(ASIL)을 부여하는 분석”입니다.
ISO 26262-3:2018 기준에 따르면, HARA의 핵심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Hazard identification (위험요소 식별)
- Operational scenario 정의 (운용 조건 및 상황 설정)
- Risk 평가 (S, E, C 기준에 따른 ASIL 결정)
🧪 2. 실무 절차 – 이렇게 작성해요!
1️⃣ Item Definition 기반 운용 시나리오 도출
예를 들어,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(EPB)의 경우
- “언덕에서 정차 후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걸리지 않음”
- “주행 중 브레이크 오작동으로 갑작스런 정지”
이런 시나리오를 도출합니다.
✨ 팁: 시나리오는 너무 많아도 너무 적어도 안 됩니다. 대표적, 현실적, 반복 가능성 있는 것으로 뽑아야 해요.
2️⃣ Hazard 도출 (고장 시나리오와 연결)
운용 시나리오에서 위험 상황을 정의합니다.
운용 시나리오 | 고장 | Hazard |
---|---|---|
언덕 정차 중 | 파킹 브레이크 미작동 | 차량 후진으로 인한 추돌 |
정속 주행 중 | 파킹 브레이크 갑작스레 작동 | 급정지 → 추돌 위험 |
3️⃣ 환경 조건 반영 – 이게 핵심이다! 🧊🔥💨
실무에서 가장 놓치기 쉬운 부분이 바로 환경 조건 반영입니다!
예시 조건
- 온도: -40°C ~ +85°C
- 배터리 전압: 9V ~ 16V
- 진동/EMC 조건: ISO 7637, ISO 11452 등 준수
- 고도 변화, 주행 속도, 운전자 반응성 등
이 환경 조건을 무시하고 HARA를 작성하면?
→ 잘못된 ASIL 도출 → 과잉 또는 과소 설계 → 비용 폭탄 or 안전 미달
✅ 팁: “해당 조건에서 실제 이 고장이 일어났을 때 위험한가?”를 항상 질문하세요!
4️⃣ S-E-C 평가 및 ASIL 결정
평가 요소 | 설명 | 예시 |
---|---|---|
S (Severity) | 사고 시 얼마나 심각한가? | S3 (치명적 부상 또는 사망) |
E (Exposure) | 얼마나 자주 발생 가능한가? | E4 (일상적으로 자주 발생하는 조건) |
C (Controllability) | 운전자가 회피할 수 있는가? | C2 (대부분 회피 불가) |
→ 위 예시의 경우, 매트릭스를 통해 ASIL D로 평가될 수 있음
🧰 3. 실무에서 유용한 팁 3가지
🧠 1) 안전팀 + 개발팀 협업은 필수!
- 안전팀만으로 HARA 돌리면 현실성 떨어짐
- 개발자는 시스템 이해도 높음 → 반드시 함께 참여해야 정확한 평가 가능
🗂️ 2) HARA 문서, 관리 툴과 연결하자!
- DOORS, Polarion, Excel 등 추적 가능한 툴을 사용하면
이후의 Safety Goal, Requirements까지 관리가 수월해져요.
🧪 3) 유사 시스템의 사례 참고 (단, 출처는 명확히!)
- ISO 26262 인증 받은 시스템의 공개 사례 (예: AUTOSAR Consortium 자료 등)
- 학술 논문, 산업 컨퍼런스 자료, OEM 요구사항 문서 등 활용
출처가 명확하지 않다면? 그냥 쓰지 마세요!
실무에서 가장 무서운 건 “근거 없는 안전”입니다.
🏁 오늘의 정리
- HARA는 “위험 시나리오 → 평가 → ASIL 부여”의 논리적 절차
- 환경 조건을 반영하지 않으면 실효성 없는 분석이 된다
- 개발자와 협업하고, 추적 가능한 방식으로 문서화해야 함
🔮 다음 강 예고
다음 시간엔 위험이 정리됐으니, 이제 어떻게 목표를 세우고 설계할지 고민해봅시다!
13강: Safety Goal 설정과 검토 포인트 – 실무자는 이렇게 한다!
- 실전 예시
- 설계 반영 방법
- 리뷰 체크리스트까지!
기대 많이 해주세요! 🎯🛡️
'Functional Safety > ISO2626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기능안전 14강) Functional Safety Concept 작성법 – 뼈대 세우기 (1) | 2025.07.01 |
---|---|
(기능안전 13강) Safety Goal 설정과 검토 포인트 – 실무자는 이렇게 한다! (0) | 2025.06.27 |
(기능안전 11강) Item 정의서 작성 실전 – 개발 전에 무엇을 정의해야 할까? (2) | 2025.06.22 |
(기능안전 10강) ASIL이 뭐길래? – 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완전 정복 (2) | 2025.06.19 |
(기능안전 9강) Part 7: 생산/운영/서비스/폐기 프로세스 – 실무에 더 가까이! (2) | 2025.06.15 |